우여곡절 끝에 운영을 시작한 한강버스가 열흘 만에 운영을 중단하기로 결정했다.
이번 운항 중단 결정은 최근 잇따른 성능 문제를 고려해 오세훈 서울시장이 직접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유를 알아보기로 한다.
[서울경제]
한강버스가 정식 운항 열흘 만에 승객 탑승을 전격 중단한다.
서울시는 29일부터 한 달간 한강버스에 승객 탑승을 일시 중단하고 성능 고도화와 안정화를 위한 '무승객 시범운항'으로 전환한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운항 중단 결정은 최근 잇따른 성능 문제를 고려해 오세훈 서울시장이 직접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강버스는 이달 18일 정식 운항을 시작했다. 하지만 26일 운항 중 방향타 고장이 발생했고 22일에는 선박 전기 계통 이상으로 문제가 생겨 운항을 일시 중단하는 등 이상 상황이 잇따라 발생했다. 이 과정에서 운항 중단과 재개가 반복됐다.
시는 이날 한강버스는 운항 초기 최적화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기술적, 전기적 미세 결함 등 오류가 발생했고 즉시 정상화 조치를 취했지만 장기적으로 승객 안전을 최우선으로 좀 더 안전하고 안정적인 운항을 위해 시범운항 기간을 갖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무승객 시범운항은 기존과 동일하게 양방향 7회씩 하루 총 14회를 운항할 계획이다.
시는 이번 시범욶랑을 통해 선박별로 운항 데이터를 축적하고 그 결과값을 운항 품질개선에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또 폭우와 폭염, 댐 방류 등 각종 시나리오에 맞춰 선박과 인력 대응 전략도 높이기로 했다.
다만 이번 조치로 10월 말 이후 선박 4척을 추가로 도입해 연내 총 12척, 왕복 48회로 확대하려던 계획에도 차질이 예상된다. 시는 시범운항 종료 후 하이브리드, 전기 선박을 추가 투입해 배차 간격을 단축하고 운항 시작시간도 앞당길 방침이다.
한강버스 탑승을 위해 기후동행카드에 5000원을 추가 지불한 정기권 구매자들에게는 전액 환불조치를 한다. 자세한 절차는 티머니 홈페이지와 모바일 티머니 앱, 개별 문자 등을 통해 안내한다.
박진영 서울시 미래한강본부장은 "열흘간 약 2만5000여명의 시민이 탑승한 한강버스를 앞으로 더 안전하고 편안하게 운영하기 위해 불가피하게 시범운항을 하게 돼 사과의 말씀을 전한다"면서 "체계적이고 철저한 시범 운항을 통해 한강버스가 서울을 대표하는 더 안전하고 믿을 수 있는 수상 교통수단으로 거듭나도록 하겠다"고 밝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