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팝송 추천] 호주의 정체성을 노래한 명곡, Man at Work - Down Under

by 럽포워니 2025. 7. 5.
반응형

출처: 픽사베이

 

팝송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한 번쯤은 들어봤을 법한 신나는 멜로디, 독특한 플루트 소리, 그리고 ‘섹스폰 난 안 불었어’라는 팝송 개그의 유행어로도 한국에 너무 많이 알려진 곡, 바로 호주 출신 가수 Man at Work(맨앳워크)의 "Down Under" 입니다.

 

1980년대 개그맨 박세민이 '2시에 데이트' 등 유명한 음악프로에 나와서 한국어와 비슷한 가사가 들어 있는 부분을 틀어 주며  '섹스폰 난 안 불었어.' 라고 소개했던 바로 그 노래입니다. 몬더그린 개그의 시초이죠. 2000년 초 개그맨 박성호가 다시 한번 소개하기도 했습니다.

 

이 노래는 단순한 히트곡을 넘어, 호주의 문화와 정체성을 세계에 알린 대표적인 곡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Man at Work는 누구?

Man at Work는 1979년 호주 멜버른에서 결성된 록 밴드로, 리드 보컬 콜린 헤이(Colin Hay)를 중심으로 활동했습니다. 특유의 레게 리듬과 뉴웨이브 사운드를 접목시킨 이들은 1981년 데뷔 앨범 Business as Usual을 통해 전 세계적인 성공을 거두었죠.

 

"Down Under"는 어떤 노래인가?

"Down Under"는 1981년에 발매되어 이듬해인 1982년 미국과 영국, 캐나다, 뉴질랜드 등 세계 주요 국가의 차트에서 1위를 석권했습니다. 특히 미국 Billboard Hot 100에서는 무려 4주 연속 1위, 영국 차트에서는 3주 연속 1위를 기록하며 호주의 위상을 한껏 끌어올렸습니다.

가사는 호주의 식문화, 사람들, 자연, 여행 등의 요소를 유쾌하게 담아냈습니다. “He just smiled and gave me a Vegemite sandwich”라는 가사처럼 호주 특산물 베지마이트를 언급하며, 호주인의 정체성과 자부심을 드러냅니다.

 

가사 주요 해석

가사는 한 여행자의 시선으로 호주를 떠나 세계를 여행하는 이야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곳곳에서 호주인의 기질과 문화를 유머러스하게 녹여냈습니다.

Buying bread from a man in Brussels / He was six foot four and full of muscles
브뤼셀에서 빵을 샀는데, 키 190cm에 근육질 남자가 팔더라

이런 유쾌한 묘사는 마치 모험담을 듣는 듯한 재미를 줍니다. 그리고 그가 세계를 돌며 느끼는 향수, 즉 "Down Under"에 대한 그리움이 이 노래의 핵심 감정선입니다.

 

플루트? 섹스폰? "섹스폰 난 안 불었어"

이 곡은 인상적인 플루트 솔로로도 유명한데, 이 부분이 국내에서는 의외의 방식으로 유명세를 탔습니다.

 

1990년대 초중반, 개그 프로그램에서 어떤 출연자가 이 노래의 전주를 패러디하며 “섹스폰 난 안 불었어”라고 외친 유행어가 큰 인기를 끌었기 때문이죠. 실제로는 섹스폰(saxophone)이 아니라 플루트였다는 건 잘 알려진 사실입니다.

 

이 개그는 이후 다양한 방송에서 패러디되며, "Down Under"라는 곡이 한국 대중들에게도 낯익은 멜로디가 되는데 큰 역할을 했습니다.

 

호주를 대표하는 ‘비공식 국가’

"Down Under"는 단순한 팝송을 넘어서 **호주의 ‘비공식 국가(Anthem)’**라고 불릴 만큼 큰 의미를 지닙니다. 럭비나 축구 경기 전에는 이 곡이 종종 울려 퍼지며, 해외에서 호주 출신임을 밝힐 때도 이 노래 한 소절이면 모든 게 설명된다고 할 정도입니다.

 

마무리하며

"Down Under"는 시대를 초월해 여전히 사랑받는 곡입니다. 경쾌한 리듬, 유쾌한 가사, 그리고 호주에 대한 자부심이 담긴 이 노래는 팝 역사 속에서도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합니다. 그리고 한국에서는 뜻밖의 개그 코드로 재조명되며 더 친숙해졌다는 점도 흥미롭죠.

 

혹시 오늘 기분이 다운되어 있다면, 이 곡을 틀어놓고 어느 부분이 "섹스폰 난 안 불었어." 라고 들리는지 찾아보세요.

후렴부분인 "I come from a land down under~"를 따라 불러보는 것도 좋을 거 같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XfR9iY5y94s&pp=ygUWbWFuIGF0IHdvcmsgZG93biB1bmRlcg%3D%3D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