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올드팝9

[팝송 추천] 1981년 락+신스의 전환점 – The J. Geils Band의 “Centerfold” 이 노래를 처음 들을 때, 전주를 듣자 마자 ‘아 어디서 들어봤지?’ 라고 했다가 바로 송대관씨의 ‘해뜰날’ 하고 너무 비슷하다는 것을 알아차렸습니다.시기 상으로 보면 centerfold 가 뒤쪽이기 때문에 해뜰날을 샘플링 했을 것 같은데, 너무 유명한 노래라 서로 인지하지 못 할 수가 없음에도, 두 가수가 아무 얘기가 없다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전주부터 신나는 centerfold에 대해 알아보기로 하겠습니다. “My blood runs cold / My memory has just been sold…”이 강렬한 오프닝 한 줄만 들어도,클래식 히트곡 Centerfold가 떠오르실 거예요.제이 갈스 밴드의 **“Centerfold”**는 1981년 발표된 싱글로, 락 사운드에 신시사이저를 결합한 .. 2024. 4. 18.
[팝송 추천] 1985년 디스코 신의 탄생 “Eat You Up” – Angie Gold 빠른 비트, 신디사이저 리프, 그리고 카리스마 넘치는 보컬…이 모든 요소가 만난 **“Eat You Up”**은 영국 출신 댄스 팝 가수 **Angie Gold(본명 Angelina Kyte)**가 1985년 발표한 곡으로, 유럽과 일본, 아시아에서 크게 사랑받았습니다. 우리나라 대중들에게는 양희혜승씨의 ‘화려한 싱글’ 이란 노래로 많이 알려진 노래인 ‘EAT YOU UP'. 또 몇년 전에는 개그맨 송은이씨,김신영씨 등으로 구성된 ‘셀럽파이브’ 의 주제곡 ‘셀럽이 되고 싶어’ 으로 발표되어 대중들로부터 많은 사랑을 받기도 했습니다.https://youtu.be/dmjfEq9YV7M?feature=sharedhttps://youtu.be/GsqG9k6LOE0?feature=shared "Eat You .. 2024. 4. 16.
[팝송 추천] “Fame” – 아이린 카라와 80년대 팝의 아이콘 1970년대 말, 뉴욕 퍼포먼스 고등학교 학생들의 꿈과 열정을 담은 영화 (1980).주인공 코코 에르난데스 역을 맡은 **아이린 카라(Irene Cara)**는 이 작품에서 주제가 “Fame”의 목소리가 되어**“I’m gonna live forever…”**라는 상징적인 가사를 통해 자신만의 ‘별’을 노래했습니다. 80년대 팝송을 들어봤다 하는 사람들 중에 이 노래를 모르는 사람은 없을 것입니다.영화 ‘Fame' 의 original sound track 이었던 같은 이름의 노래입니다. 1. 곡 탄생 배경과 제작 비하인드“Fame”은 작곡가 Michael Gore, 작사가 Dean Pitchford가 영화 주제를 직접 메가히트로 만든 곡입니다.영화 출연 중 발견된 아이린 카라는 주제가 가창까지 맡게 되.. 2024. 4. 14.
[팝송 추천] 한 방향으로 떠나는 사랑의 열차 – Eruption의 “One Way Ticket” “🎶 One way ticket, one way ticket, one way ticket to the blues~”경쾌한 디스코 리듬 위로 흘러나오는 이 반복적인 멜로디는,1979년을 강타한 디스코 히트곡 **이럽션(Eruption)**의 “One Way Ticket”입니다.이 곡은 단순한 댄스 넘버를 넘어 이별의 슬픔을 디스코로 승화한 명곡으로, 지금까지도 전 세계적으로 사랑받고 있습니다. 한국인들에게는 개가수의 원조 방미의 '날 보러 와요‘ 라는 곡으로 너무 친숙한 노래입니다.노래를 몰라도 한 소절만 들으면 본인도 모르게 어깨가 들썩 거릴 수 밖에 없다고 확신합니다. 😎 1. Eruption은 누구? Eruption은 1970년대 후반 유럽에서 활동한 영국 기반의 디스코/펑크 밴드로,자메이카 .. 2024. 4. 2.
[팝송 추천] 이별의 감성을 꾹 눌러 담은 싱글 – Jessica Folcker의 “Goodbye” “Goodbye”는 1998년 발표된 Jessica의 데뷔 앨범 Jessica의 수록곡으로,스웨덴과 한국 등 아시아 시장에서 큰 인기를 얻었습니다.이 곡은 David Foster, Linda Thompson와 같은 정상급 작곡가가 만들었으며,Jessica의 맑고 순수한 보컬이 담담한 이별의 슬픔을 전하는 발라드입니다. 이 노래를 들을 때마다 영화 '약속'의 한 장면이 생각난다. 1. 곡 정보 Goodbye는 스웨덴 가수 제시카(Jessica Folcker)가 1998년 발표한 셀프타이틀 데뷔 앨범에 수록한 곡으로 김유진 감독의 1998년 영화 에 삽입되면서 1999년 MBC 라디오 '한국인이 좋아하는 팝송 200' 중 2위를 차지할 정도로 국내에서 아주 아주 큰 인기를 누렸습니다. 발매: 1998년앨범.. 2024. 3. 31.
[팝송 추천] 탑건의 심장을 울린 전설의 사운드 – Kenny Loggins의 "Danger Zone" “Highway to the Danger Zone~ 🎶”이 한 구절만으로 전투기, 속도, 아드레날린이 떠오른다면, 당신은 이미 이 곡의 에너지를 알고 있는 사람입니다.**케니 로긴스(Kenny Loggins)**의 **"Danger Zone"**은 1986년 영화 Top Gun의 사운드트랙으로 발표되었으며,이후 40년 가까이 팝 문화 속 상징적인 록 트랙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1. 가수 소개 - Kenny Loggins, 사운드트랙의 마법사 Kenny Loggins는 1980년대에 ‘사운드트랙계의 황제’라 불릴 만큼, 영화 음악으로 큰 성공을 거둔 아티스트입니다.그의 대표곡들은 대부분 영화와 연계되어 있으며,“Footloose” (Footloose OST)“I’m Alright” (Caddyshack.. 2024. 3. 29.
[팝송 추천] 자유를 춤추다 – 케니 로긴스의 "Footloose" 1984년, 전 세계 청춘들을 신나게 흔들어 놓은 한 편의 영화가 있었습니다.바로 동명의 사운드트랙으로도 유명한 영화 《Footloose》.그리고 그 영화의 오프닝을 장식하며 전설이 된 곡,바로 Kenny Loggins(케니 로긴스)의 "Footloose" 입니다. 솔직히 개인적으로 영화는 잘 기억이 나지 않습니다.그렇지만 영화에 삽입되었던 노래는 아직도 생생하게 기억납니다. Original Sound Track.케니 로긴스의 풋루즈(Footloose), 보니 타일러의 홀딩 아웃 포러 히어로(Holding out for a hero).아마 내가 내 인생에서 제일 처음으로 샀던 LP었던 걸로 기억합니다. 리스트를 보니 모두 한 시대를 풍미했던 음악들입니다.오늘은 풋루즈를 들어보기로 했습니다. 😎 기타 소.. 2024. 3. 25.
[팝송 추천] 디스코 여신의 고백 – ABBA의 “Gimme! Gimme! Gimme!” “Gimme! Gimme! Gimme! A man after midnight!”1979년, 이 강렬하고 중독적인 가사 한 줄이 전 세계 디스코장을 휩쓸었습니다.그 주인공은 스웨덴이 낳은 세계적인 팝 그룹 ABBA.오늘 소개할 곡 “Gimme! Gimme! Gimme! (A Man After Midnight)”은 디스코 열풍의 정점을 찍은 동시에,고독 속에서 사랑을 갈망하는 여성의 목소리를 담은 상징적인 노래입니다. 너무나도 유명한 그룹 아바의 노래 Gimme Gimme.마돈나가 Hung up을 발매하기 전부터 샘플링 한다고 해서 엄청난 관심을 불러 모았다고 합니다. 개인적으로 베이스 기타 연주를 배우고 있는데, Gimme Gimme을 베이스 기타로 커버한 연주자들의 모습을 보며 노래가 정말 좋다고 생각하.. 2024. 3. 21.
[팝송 추천] 복고 디스코의 정수, Arabesque – Hello Mr. Monkey 1970년대 말, 유럽 디스코 붐의 한복판에서 탄생한 독특한 곡이 있습니다.경쾌한 리듬, 반복적인 후렴, 그리고 인상적인 제목. 바로 **Arabesque(아라베스크)**의 데뷔곡 **“Hello Mr. Monkey”**입니다.이 곡은 당시로서는 흔치 않던 여성 3인조 디스코 그룹이 부른 노래로, 동양적인 이름과 유럽 디스코 사운드가 결합된 독특한 정체성을 가진 곡입니다. 이 곡은 왁스가 ‘머니’라는 노래에서 샘플링해서 한국 팬들에게 다시 한번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1. Hello Mr. Monkey – 곡 소개 “Hello Mr. Monkey”는 Arabesque의 데뷔곡으로, 1977년에 발표되었습니다.이 곡은 발표와 동시에 일본, 한국 등 아시아권에서 크게 인기를 끌었으며, 한국에서는 CF, 라디.. 2024. 3.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