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최강삼성28

삼성 라이온즈, 단독 선두 한화 잡았다. 모처럼 만에 투타의 조화를 이룬 삼성 라이온즈가 일요일 충격의 역전패를 이겨내고 단독 선두 한화 이글스를 잡고 주중 3연전에서 먼저 웃었다.삼성은 7월 29일 대전 한화생명 이글스파크에서 열린 2025 신한 SOL뱅크 KBO 리그 한화와의 원정경기에서 9-2 완승을 거뒀다.삼성은 48승1무47패를 기록했다. 한화는 57승3무47패로 선두를 지켰지만, 3연패 수렁에 빠졌다.삼성 디아즈의 활약이 좋았다.디아즈는 홈런 포함 2안타 2타점으로 맹타를 휘둘렀고, 김성윤은 3안타 2타점, 구자욱은 2안타 3타점으로 보탰다.삼성 가라비토의 호투도 눈부셨다.가라비토는 6이닝 5피안타 6탈삼진 1사사구 무실점 호투로 시즌 2승(1패)을 달성했다.가라비토가 6회말까지 마운드를 지킨 삼성은 7회초 박승규의 솔로 홈런과 9회.. 2025. 7. 30.
한국프로야구 7월 27일 수원구장에서 무슨 일이? 한국프로야구 삼성라이온즈가 7월 27일 수원 KT위즈파크에서 열린 2025 신한은행 SOL 뱅크 KBO리그 KT위즈와의 원정 경기에서 3-4으로 충격적인 역전패를 당했다.이날 패배로 삼성라이온즈는 KT위즈와 주말 3연전을 루징 시리즈로 마무리 했으며, 순위는 공동 5위에 위치했고 겨우 5할 승률을 유지했다.충격적인 역전패였다.선발 원태인이 7이닝 무실점으로 잘 막았고, 4회와 8회 그리고 9회 각 1점 씩 뽑아 3-0 으로 이기던 경기는 9회말 삼성 불펜들의 불장난(?)으로 급격히 바뀌었다.9회말 1사 후 마무리 이호성이 안치영을 몸에 맞는 볼로 내보냈고, 보크로 2루까지 진루시켰고 대타 조대현에게 안타를 맞아 3-1 이 될 때까지는 대세에 지장이 없으리라 생각했다.그 이후 로하스에게 볼넷, 권동진에게 .. 2025. 7. 28.
‘직구만 던지지 않는다’ – 프로야구 투수 구종 완전 정리 요새 한국 프로야구 중계를 보다보면 해설자들이 주로 하는 말 중의 하나가 투수들의 구종이다. 개인적으로 단순히 직구, 커브, 슬라이더 정도만 알고 있었는데, 요새는 ‘투심’, ‘포심’, ‘체인지업’ 등의 단어를 많이 듣다 보니 궁금해지기 시작했다.타자들의 체격이나 타격 기술이 좋아지다 보니 투수들의 구종도 그만큼 다양해지고 발전하는 것이라 생각한다. 상대 투수의 대표 구종에 따라 타자들의 대처하는 방법도 달라진다.역시, 야구는 단순히 공을 빠르게 던지는 스포츠가 아니었다. 투수의 무기는 ‘속도’뿐 아니라 ‘변화’이며, 다양한 투구 구종(pitch types)이 상대 타자를 교란하는 전략의 핵심이다. 오늘은 포심, 투심, 커브, 체인지업, 포크볼 등 주요 구종의 던지는 방법, 궤적, 그리고 대표적인 선수들.. 2025. 7. 1.
한국 프로야구(KBO) 팀별 고액 연봉 순위, 최근 5년간 이렇게 바뀌었다. 최근 몇년 동안 이승엽 선수, 이대호 선수, 추신수 선수 등이 은퇴하면서 한국 프로야구 고액 연봉자 순위는 많이 바뀌었다고 생각이 되는데요.오늘은 한국 프로야구(KBO) 팀별 고액 연봉 순위는 최근 5년간 어떻게 변동 되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래는 2021년부터 2025년까지 최근 5개 시즌 동안, 고액 연봉자들(외국인 포함)의 연도별 연봉 추이를 이름, 포지션과 함께 정리한 내용입니다.선수 (구단)포지션20212022202320242025김광현 (SSG)투수·선발10억13억20억30억30억최정 (SSG)3루수15억15억16억17억17억구자욱 (삼성)외야수15억17억18억20억20억강민호 (삼성)포수10억10억11억12억12억고영표 (KT)투수·선발12억15억17억18억20억멜 로하스 Jr. (.. 2025. 6. 27.
투수 연속 무실점 기록의 의미와 KBO 역대 순위 총정리 2025년 6월 24일 고척에서 열린 키운 히어로즈와 KIA 타이거즈 전 6-6 동점이던 6회말 1사 1·2루에서 키움 임지열 선수가 홈런포를 쏘아 올렸습니다. 자신의 타석에서 바뀐 투수 KIA 성영탁의 4구째 낮은 커터를 걷어 올려서 만든 홈런이었습니다. KIA 성영탁의 ‘데뷔 후 연속 무실점 기록’ 행진도 17.1이닝 에서 끝이 났습니다.오늘은 투수 연속 무실점 기록이란 무엇인지, 어떤 의미가 있는지, 어떤 선수들이 기록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1. 연속 무실점 기록이란?• 정의: 투수가 연속적으로 실점 없이 이닝을 소화한 누적 기록입니다.예: 이전 게임 5이닝 + 이번 게임 4이닝 무실점 등 이어진 이닝 합.• 중간 계투는 매 등판 이닝 합산, 선발은 경기마다 연결합니다.• 기준:- .. 2025. 6. 25.
KBO 사이클링 히트: 뜻, 조건, 역대 달성 선수 총정리 개인적으로 기억에 남아있는 최초의 싸이클링 히트 기록은 삼성 라이온즈 오대석 선수입니다. 그 이후로도 많은 선수들이 ‘싸이클링 하트’ 기록을 세운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한국 프로야구(KBO)에서 '싸이클링 히트(Cycling Hit)'는 한 선수가, 하나의 경기에서 ‘단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네 가지 안타를 모두 기록하는 희귀한 업적입니다. 전체적으로 매우 드물며, 기록 자체가 하나의 작은 ‘완성형 경기’를 의미합니다.오늘은 싸이클링 히트의 정의, 등장 빈도, 기록 선수, 가치 등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1. 싸이클링 히트란?정의: 한 경기에서 단타, 2루타, 3루타, 홈런을 한 번씩 모두 기록할 경우자연 사이클링(내츄럴 싸이클링 히트, Natural Cycle): 단타에서 장타의 순서대로.. 2025. 6. 23.
왜 야구는 '3'의 스포츠일까? 숫자 3으로 보는 야구 규칙과 기록 야구에서 숫자 '3' 은 마치 마법의 숫자처럼 경기 구조 전반에 걸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스트라이크 3개 → 아웃”, “타자 3할 → 우수한 타자”, “한 이닝 3아웃 → 공격·수비 교대”, “3이닝 3회 → 9이닝, 정규 이닝” 등, 야구는 ‘3’과 뗄 수 없는 종합 예술이라고 할 수 있죠. 오늘은 ‘야구와 3의 관계’를 다양한 관점에서 살펴보며, 왜 이 숫자가 특별하게 인식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3 스트라이크 = 아웃야구의 기본 규칙에서 '타자는 스트라이크 세 번을 당하면 아웃'이라는 규칙은 매우 직관적이면서도 전략적인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3'의 구조: 가장 단순하고 명확한 구조입니다. 부족한 기회에서 3번 실수는 끝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전략적 의미: 타자는 최대 2개의 실수.. 2025. 6. 22.
프로야구 용어 설명: 병살타(GIDP) 란? 더블 플레이와 차이는? 야구 중계를 보다보면 “4-6-3 으로 이어지는 병살타 입니다.“ 등의 얘기를 흔히 듣게 됩니다. 여기서 숫자는 수비수의 포지션을 말합니다. 4는 2루수, 6은 유격수, 3은 1루수니까, 위 캐스터의 멘트를 자세하게 풀어보면 ”1루에 주자가 있는 상황에서 타자가 친 땅볼 타구를 2루수가 잡아서 유격수에게 던졌고, 유격수는 1루주자가 2루에 도착하기 전에 2루 베이스를 밟고 1루수에게 던져 타자도 아웃 시켰다.“ 라는 말이 됩니다. 헉헉.그래서 오늘은 병살타의 의미와 각종 기록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병살타는 야구에서 흔히 ’더블플레이(병살)’라고 부르지만, 사실 공격 측이 하나의 타구로 두 명의 아웃을 기록한 타격을 의미하며, 영어로는 “Grounded Into Double Play” (약칭 GIDP).. 2025. 6. 21.
투수 보직 별 지표 종류, 계산법, 해석 방법 정리 현대 프로야구는 투수들의 포지션 별로 철저하게 분업화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선발투수는 특별한 상황이 아니면 투구수 100개를 넘기지 않으며, 완봉승이나 노히트노런 등 특별한 기록이 기대되지 않는 이상 마지막 이닝은 마무리 투수에게 공을 넘깁니다.그렇기 때문에 투수의 경우 승리, 홀드, 세이브 등 포지션별 지표가 아주 명확합니다.오늘은 프로야구 투수 포지션별 지표의 종류와 계산 방법 등에 대해 알아보기로 하겠습니다.1. 선발 투수 (Starting Pitcher) 지표주요 선수 : 류현진, 김광현, 양현종, 원태인 등주요 지표 승수 (W – Wins)선발 투수가 경기에서 이기면 ‘승’이 증가합니다. 단, 선발로서 최소 5⅓이닝 소화하고, 팀이 리드를 유지해 승리해야 합니다. 다만, 투수 실력보다는 타선.. 2025. 6. 18.
한국프로야구 우승팀 정리: 역대 우승 횟수 및 순위 분석 (2024년 기준) 요새 한국 프로야구의 인기는 정말 어마어마 합니다. 야구장 직관을 하면 더욱 확실하게 알 수 있습니다. 한국에서도 이제 경기를 보기 위해 야구장을 가고, 음식을 먹고, 가족이나 친구, 애인과 함께 야구경기를 보는 것이 하나의 문화가 되어 간다는 것을 실감하는 요즘 입니다.특히 개인적으로는, 친구나 연인들이 서로 다른 편을 응원하면서 바로 옆자리에 앉아 카메라에 비쳐지는 모습이 이상하지 않고 당연하게 느껴지는 분위기가 신기하기까지 합니다.재작년에는 LG 트윈스가 오랜만에 우승을 했고, 작년에는 KIA 타이거즈가 삼성 라이온즈를 상대로 승리를 거두고 우승을 했는데요. 올해도 전반기 순위 싸움이 심상치 않습니다.오늘은 한국 프로야구 역대 우승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1. 한국시리즈 개요첫 대회: 19.. 2025. 6. 15.
반응형